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1

디지털 치료제의 정의, 특징, 활용 사례 및 전망 디지털 치료제의 정의, 특징, 활용 사례 및 전망 1. 디지털 치료제의 정의디지털 치료제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고, 증상을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학적 도구로 과거 우리가 알고 있던 치료제와는 많이 달라서 생소하게 느껴지는 치료제입니다. 치료제를 세대별로 구분해보면 1세대 치료제인 저분자 화합물(알약이나 캡슐), 2세대 치료제인 생물제제(항체, 단백질, 세포)에 이어 디지털 치료제는 제3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치료제는 기존의 약물이나 수술과 같은 전통적 치료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 앱, 웨어러블 기기, 인공지능 및 가상현실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치료 효과에 따라 대체 또는.. 2025. 3. 19.
희귀 질환과 치료제 (헌터증후군, 파브리병, 폐섬유증) 국내에서 개발 중인 희귀질환 치료제 (헌터증후군, 파브리병, 폐섬유증) 희귀질환은 말 그대로 발생 빈도가 낮은 희귀한 질병입니다. 희귀질환 환자의 수를 보더라도 인구 2만 명 중 1명 정도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7,000여 종의 희귀질환이 존재하며, 이들 중 상당수가 유전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희귀질환으로는 헌팅턴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파브리병, 고셔병, 폐섬유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인체의 신경계, 대사계, 면역계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 복잡하고 다양해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국내에 약 1,300여 종의 희귀질환이 등록되어 있고, 2020년 기준으로는 약 5만 2천 명의 신규 희귀질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 2025. 3. 18.
줄기세포 신약 개발 (메디포스트, 테고사시언스, 에스바이오메딕스, 입셀) 줄기세포 신약 개발 기업 (메디포스트, 테고사이언스,에스바이오메딕스, 입셀)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와 신약개발 분야는 생명과학과 의학의 혁신적인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기술은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분화되지 않은 세포를 활용하는 바이오 기술입니다.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그리고 유도 만능 줄기세포(iPSCs)로 나눌 수 있는데 배아 줄기세포는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체 줄기세포는 특정 조직으로만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는 성체 세포를 특정 유전자를 도입하여 줄기세포처럼 재프로그래밍한 세포입니다. 이 기술은 일본.. 2025. 3. 18.
유전자치료제 회사 유전자치료제 회사(CRISPR Therapeutics,Thermo Fisher Scientific, 툴젠, Editas Medicine) 유전자 치료제는 현재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로, 인간의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특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이오 의학 기술입니다. 유전적 결함이나 질병을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거나, 새로운 유전자를 추가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혹은 예방하는 방식으로 치료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기술인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과 줄기세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암, 희귀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전자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 유전 질환이나 기존 치료법.. 2025. 3. 17.
바이오 - 지방 흡수 억제제 (오르리스타트, 천연지방흡수) 바이오 - 지방 흡수 억제제 (오르리스타트, 천연지방흡수)다이어트를 돕는 지방 흡수 억제제는 체내에서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방해해서 체중 감소를 돕는 약물입니다. 지방 흡수 억제제는 리파아제(lipase)라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체중 감량을 유도합니다. 리파아제는 췌장에서 분비되어 음식물 속 지방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지방 흡수 억제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차단하여 지방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섭취된 음식 이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지방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체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체중 감량을 위해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기존 방식의 약물과 달리, 지방 흡수 억제제는 섭취한 지방이 소장에서.. 2025. 3. 16.
식욕 억제제 (펜터민, 로카세린,부프로피온+날트렉손) 식욕 억제제 (펜터민, 로카세린,부프로피온+날트렉손) 식욕 억제제는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배고픔을 덜 느끼도록 만드는 약물입니다. 뇌의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식욕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하며, 주로 짧은 기간내에 체중을 감량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식욕억제제는 크게 처방전이 필요한 약물과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보충제로 나누어집니다. 처방 약물은 주로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식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펜터민(Phentermine)과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이 있습니다. 식욕억제제는 효과적인 체중 감량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부작용과 약물에 대한 의존성을 높일 수 있는 위험이 있기.. 2025. 3. 16.